본문 바로가기

환경

질소순환 질소순환 1. 질소의 순환 : 질소(N2)는 대기의 약 78%를 차지하고 있지만, 대부분의 생물은 이를 직접 이용하지 못하며, 일부 미생물들만이 직접 대기 중의 질소를 이용할 수 있다. 2. 대기 중의 질소는 뿌리혹박테리아, 아조토박터 등 질소 고정 세균에 의해 암모늄 이온(NH4+)으로 고정되거나, 공중 방전에 의해 질산 이온(NO3-)으로 된다. 3. 질소 고정 질소 고정 세균에 의해 대기 중의 질소(N2)가 암모늄 이온(NH4+)으로 전환되는 과정이다. 토양 속 일부 암모늄 이온은 아질산균과 질산균 같은 질화 세균의 질화 작용에 의해 질산 이온으로 전환된다. ​ 4. 질산화 작용 질화 세균인 아질산균이나 질산균에 의해 암모늄 이온(NH4+)이 질산 이온(NO3-)으로 산화되는 과정이다. NH4+ →.. 더보기
탈질산화 탈질(脫窒, Denitrification)​ '탈질(Denitrification)' 혹은 탈질산화란 물속의 질산염(NO3−)이 질소가스(N2) 형태로 공기 중에 방출되는 것을 의미함. 더보기
질산화 질산화 질산화(窒酸化 ; Nitrification) '질산화(Nitrification)'란 질산화 박테리아(Nitrifying bacteria)에 의해 암모니아(Ammonia, NH4+/NH3) 가 아질산(Nitrite, NO2−)과 질산염(Nitrate, NO3−)으로 변환되는 것을 의미함. 더보기
막여과 막여과 o 막여과(Membrane Filtration)란 막(Membrane)을 여재로 하여 물을 통과시켜 수중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이나 불순물을 여과하는 기술 ㅇ 막여과 기술은 고액분리, 이온분리, 가스분리 등을 행하는 분리기술로써 정수처리, 하폐수처리, 해수담수화, 식품 및 의료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. 막 여과법 종류 및 특징 ㅇ 막여과 공법은 제거되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역삼투(RO; Reverse Osmosis)법, 나노여과막 또는 저압역삼투(NF; Nanofiltration)법, 한외여과(UF; Ultrafiltration)법, 정밀여과(MF; Microfiltration)법, 전기투석(ED, Electrodialysis)법으로 분류된다. ㅇ 막여과 공정에 이용되는 막(Membra.. 더보기

반응형